본문 바로가기
마음챙김

우리나라의 경제 역사 총정리 [ 대한민국의 돈의 역사]_ 경제책리뷰_홍춘옥

by 슬기맘오똑이 2024. 1. 27.
반응형

◆ 우리나라의 경제 역사 총정리 [ 대한민국의 돈의 역사] 경제책리뷰_홍춘옥

 

크눌프 북클럽에서 올해 경제책을 읽어보기로 결정하고 첫 번째 책으로 부동산 및 금융분야, 국제 경제 전문가인 홍춘옥작가님의 [대한민국의 돈의 역사]이다.

우리나라의 경제, 주식, 부동산까지  돈의 역사를 알기 쉽고 간단하게 설명한 책이라 경제 기본서로 추천하여서 선정하였다.

돈의 역사는 반복된다

 


책의 표지에 있는 썸네일이다.
나는 돈의 역사를 몰라서 부자로 살지 못하는 것일까 생각하며 흥미롭게 책장을 넘겼다.

1부, 경제의 흐름을 바꾸는 19대 사건

2부, 주식시장의 흐름을 바꾼 11대 사건

3부,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바꾼 7대 사건


책의 목차는 3가지로 나누어져 있다.

어려서부터 어렴픗하게 기억되던 역사의 사건들이 경제와 주식 부동산의 흐름에 어떻게 적용이 되었나 풀어서 설명을 해주니까 흐름파악을 할 수 있었다.

뉴스로 흘려들었던 사건이 어떤 연결고리로 우리의 역사가 이루어졌나 윤곽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처음 접한 경제책이라 방대한 내용을 담고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경제를 큰 틀로 정리했다.
대한민국의 경제, 주식, 부동산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읽으면서 느꼈던 것은 세계에서 작은 나라, 일제 강정기와 분단의 아픔을 겪으면서도 참 대단한 저력으로 지금 선진국대열에 들어설 수 있도록 노력하신 분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우리나라의 국민으로 큰 자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은 사건들의 설명에 이어 요약 및 교훈의 집약적인 핵심을 정리하여서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1949년 농지 개혁


한국 경제의 빈곤의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계기는 농지 개혁이었다.
농지개혁은 공산화정권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농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민주주의 사회적 기반을 만드는데 큰 성과를 냈다.

 

1962년 화폐개혁


1050년대 적산 매각으로 상당수 공장이 기업가의 소유가 되었다.
그리고 수입을 통해 물건을 생산해야하기 때문에 수입만 늘어나 무역적자가 일어났다.
미국의 도움으로 제조업이 발달하였지만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경제성장의 한계가 보여서 투자 재원을 마련하고 인플레이션을 완화할 목적으로 화폐개혁을 하였으나 미국의 불신과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해 실패했다.
이 계기로 인하여 미국 원조를 받기 위해 베트남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2000년 정보 통신 거품의 붕괴,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모두 한국 정체에는 큰 기회이기도 했다. 위기가 기회로 작
용했던 가장 큰 이유는 한국 기업들이 불황에도 핵심 기술을 향상하려는 노력윤 중단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p202)


우리나라는 위기에 강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불황을 겪게되면 쓸모없다고 판단하는 부분부터 제거를 한다.
그러나 한국은 더 도전적인 연구개발에 투자를 지속하여 세계적인 미디어 기업 블룸버그가 매년 선정하는 세계혁신 국가 랭킹에서 1등을 차지한다.
당장 수익에는 연결이 되지 않아도 미래의 성과 개선시킬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화폐개혁과 인플레이션 완화정책의 실패를 1964년 베트남 파병으로 컨테이너로 물류혁명에 올라탈 기획을 만들고 한일 기본조약으로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포항제철 사업을 달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1980년 2차 석유위기로 마이너스 성장을 하였는데 강력한 통화긴축정책으로 무역적자의 완화로 대외적인 평가를 높인 계기가 되었다.
1997년 외한 위기, 1999년 대우 그룹사태, 2002년 카드대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1년 저축은행대란,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등 그동안의 사건에 대해 정확히 잘 모르고 지나갔는데 이 책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었고 그 흐름에서도 변화에 주목하여 부를 이룬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서 경제역사를 정확하게 파악하며 주지해야겠다 생각하며 같은 실수를 두 번 반복하지 않고 성장을 이루는 나라 소중한 자산을 지키고 키워야겠다.

 

 

홍춘옥이 제안하는 위험을 적당히 감수하며 투자 방법

 

1, <대한민국 돈의 역사>에서 얻은 지식을 기반으로 사이클을
활용한 투자 기법을 갈고 닦아 실천하는 것이다.(p466)

2,  자산 배분 투자를 하는 것이다. 한국 주식과 미국 국채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1997년이나 2008년 같은 금박 한 위기 상황에서도 큰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 대표적인 자산배분 전략이다.(p468)


결국 답은 투자 공부 밖에 없다는 결론입니다.

투자의 사이클은 계속 반복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면 어떻게 사이클을 파악할 수 있을까

투자의 역사를 면밀하게 점검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정부 정책과 세계경제 정세 변화를 파악하며 어디에 투자해야 하나  자산 배분 전략을 세워야 한다.



http://Athog.me/t7qkuc9wz3

 

대한민국 돈의 역사 - 예스24

남북 분단에서 코로나까지 대한민국 돈의 역사 총망라국내 최고의 이코노미스트 홍춘욱 박사가 들려주는 넓고 깊은 한국 경제 이야기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을 통찰하는 안목을 선사하는 최

athog.me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