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감염병(엠폭스) 예방 및 행동수칙

by 슬기맘오똑이 2023. 4. 19.
반응형

◆ 감염병(엠폭스) 예방 및 행동수칙 

 

감염병(엠폭스) 위기 경보 수준 단계 성향 발령(관심→ 주의)에 따른 예방 및 행동 수칙을 안내합니다.

 

1. 엠폭스의 정의

  엠폭스는 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입니다. 

  제 2급 감염병으로 1958년 코펜하겐 국립혈청연구소가 사육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했습니다. 대다수 사례는 DR콩고와 나이지리아에서 발생이 보고 되고 있으며 두창과 유사하나 중증도는 낮습니다.

 2022년 5월 이후 엠폭스 비풍토국인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유행하여 감염사례와 발생지역이 확대되었으며, 2022년 6월 국내 첫 확진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2. 감염경로 및 잠복기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된 동물(쥐, 다람쥐, 원숭이 등), 감염된 사람,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으며 태반능 통해 모체어서 태아로 수직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① 감염된 동물, 사람의 혈액, 체액, 피부, 점막병변과의 직.각접 접촉

② 코, 구강, 인두, 점막, 페포에 의한 감염비말에 의한 사람간 직접 전파

③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전파도 가능

④ 감염환자의 체액, 병변이 묻은 매개체(의복 등) 접촉을 통한 전파

 

잠복기는 평균 6~13일 입니다.

 

 

 

 

3. 주요 증상 및 임상 경과

 

① 발열, 오한, 피로, 근육통 및 요통, 림프절 부종, 두통, 호흡기 증상(기침, 코막힘, 인후통)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보통 1~4일 후에 발진 증상이 나타납니다.

 

② 얼굴, 입, 손, 발, 가슴, 항문 생식기 부근에 발진이 나타납니다.

 발진은 반점부터 시작하여 반점→ 구진 → 수포(물집)→ 농포(고름) → 가피(딱지)로 진행되어 초기에는 뾰루지나

물집처럼 보일 수 있으며 통증과 가려움을 동반합니다.

  ※ 증상이 비슷한 수두, 홍역, 옴, 매독 등과 감별 진단이 중요합니다.

 

③ 엠폭스는 대부분 2~4주 후 자연 치유되어 치명률은 1% 미만으로 보고되며, 면역저하자. 8세 미만 소아, 습진 병력, 임신 및 모유 수유자에게 중증도가 높을 수 있으며  풍토병 국가를 중심으로  발생한 엠폭스의 치사율은 약 10%로 보고되었습니다.

 

④전염병이 강한 시기는 전구기(3~5일 간)입니다.

 

 

 

4. 앰폭스 예방 및  행동 수칙

 

엠폭스 예방 수칙

 

① 손 씻기 등 개인적인 위생 수칙 준수

   * 의심증상자 접촉 후 비누와 물 사용, 또는 알코올  성분 손 소독제 사용

② 오염된 손으로 눈, 코, 입 점막 부위 접촉 삼가

③ 엠폭스 의심증상자 피부병변 접촉과 사용물품(침구류, 수건, 의복, 세면대) 접촉 삼가

④ 엠폭스 의심증상자와 부득이하게 접촉 시 개인보호구 사용

⑤ 아프거나 죽은 동물과의 직접 접촉 및 사용물품 주의

⑥ 아프리카 수입야생동물 및 반료동물 접촉 불가

 

엠폭스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 요령

 

① 실거주관할보건소로 즉시 신고하고 방역 당국의 조치에 따른다.

② 엠폭스 진단 전까지 동거인을 비롯한 주위사람들과의 접촉 삼가

  * 침구, 식기, 컵, 등 물품을 따로 사용하고 가능하면 생활공간 분리한다.

③ 철저한 손위생 및 가족 및 동거인 보호를 위해 개인보호구(마스크, 개인위생장갑, 긴소매 및 바지 착용) 사용

④ 의심증상자 쓰레기 및  침구류 분리하여 관리

  * 확진되면 폐기물로 별도 분리배출

⑤ 애완동물을 비롯한 기타 동물과의 접촉 삼가.

 

 

 엠폭스 발생지역 방문 시 주의 사항

 

① 방문 전 엠폭스 풍토병 지역 및 발생지역 확인

② 설치류(다람쥐 등), 영장류 접촉 삼가

③ 동물사체 및 야생동물 고기를 다루거나 섭취하지 않기

엠폭스의심환자와 접촉 삼가

 

엠폭스 발생지역 방문 후 주의 사항

 

① 귀국 후 검역 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 질문서 제출

② 귀국 후 21일간 발열 및 기타 관련 증상 자가 모니터링

③ 엠폭스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실거주지 보건소에 상담 문의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108010000#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www.kdca.go.kr

 

반응형

댓글